Insight

‘더불어 혼자’가 추구하는 삶의 밸런스

“사람은 더불어 혼자 산다.”

―신경림, ‘나의 문학 이야기’ 중

코로나19가 시작되면서 예상치 못했던 혜택(?)이 하나 생겼다.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맡게 된 다양한 역할과 활동 때문에 넘치는 만남과 행사로 점점 지쳐갔고, 이러다 언제 한번 쓰러지지, 하며 불안불안했는데 ‘이놈’ 덕분에 한동안 만남을 셧다운하고 혼자만의 재충전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.

그래서일까. ‘바야흐로 내향형의 시대가 왔다’는 말이 그럴듯하게 들리기도 했다. 그리고 얼핏 ‘혼자서도 충분히 만족감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다’라는 착각도 해보았다.

하지만 그간 제한된 만남과 소통 속에서 난 진정 행복했는가? 같은 하루가 반복되는 것 같은 이 상황은 관계의 과잉을 덜어내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관계의 단절로 치닫게 하는 것은 아닐까? 사회적 고립자들은 와이파이조차 터지지 않는 사각지대에서 고통 속에 신음하고 있지는 않을까? 이런저런 고민이 많아졌다.

이때 이 문장이 다시 떠올랐다. 같이도 있고 싶고 혼자 있고 싶은 모순된 마음, 그리고 어쩔 수 없이 ‘더불어 혼자’ 살아야 하는 모순된 삶의 조건에 대해 생각해 본다. 아니 이건 모순이 아니라 삶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밸런스가 아닐까. ‘공동체의 유대’만을 강조한다거나, ‘어차피 인생은 혼자’라며 냉소하는 것 모두 삶의 밸런스를 무너뜨릴 뿐이다. 그리고 무너진 밸런스의 끝자락에 서 있는 사람들은 어쩌면 고립되어 추락하고 있을지도 모른다.

공동체 아파트 ‘위스테이’의 주민들이 직접 만든 노래에는 이런 가사가 나온다. “혼자라면 어려운, 함께라면 할 수 있는 일.” 느슨하게 함께 존재할 때, 우리는 비로소 우리가 속한 사회의 적절한 균형 속에 안전할 수 있다.

양동수 (사회혁신기업 더함 대표)

해당 글은 2020년 11월 2일자 <동아일보>를 통해 발행된 칼럼을 수정한 글입니다.

▷ 따로, 또 함께 [내가 만난 名문장]

Tags
소셜디벨로퍼 그룹 더함